고사성어(故事成語)

정중지와(井中之蛙) : 우물 속의 개구리,(식견이 좁아 세상을 모름)

담하(淡霞) 2023. 10. 18. 15:05
정중지와(井中之蛙) : 우물 속의 개구리,(식견이 좁아 세상을 모름) [우물 정(二/2) 가운데 중(丨/3) 갈 지(丿/3) 개구리 와(虫/6)] 우리 속담에 우물안 개구리’란 것이 있다. 우물 안에서 하늘을 쳐다보면 자그마한 원이 전부다. 그 속에 갇힌 개구리는 보이는 하늘이 당연히 전부라 생각한다. 널리 알지 못하는좁은 식견을 비꼬거나 별로 깊지도 않은 지식을 제가 제일인양 우쭐대는 사람을 욕할 때 쓴다. 이것을 그대로 번역한 듯 똑같은 이 성어는 유사한 말이 많기로유명하다. 먼저 우물이 붙는 埳井之蛙(감정지와, 埳은 구덩이 감)  井蛙之見(정와지견), 井底之蛙(정저지와) 외에  대롱 管(관)이 들어가는  管窺蠡測(관규려측, 蠡는 좀먹을 려),  管中窺天(관중규천), 관중규표(管中窺豹)가 있고 , 맹인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群盲撫象(군맹무상)도 비슷한 말이 많다. 奇想天外(기상천외)한 비유로  우주만물을 흥미 있게 풀어내는 ‘莊子(장자)’에  이 말이 처음 나온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때 활약했던 제자백가 중에서  老子(노자)와 더불어 道家(도가)의 쌍벽으로 불리는  莊周(장주)의 저작이다.  外篇(외편)의 秋水(추수)편은  시간과 공간의 무한함과  인간의 미미함을 그려내고 있다.  첫 머리에 나오는 이야기에  비유가 실려 있다. 가을비가 때맞게 내려  온갖 냇물이 黃河(황하)로 흘러들자  강을 관장하는 신 河伯(하백)은  세상의 모든 것을  자신이 갖고 있다고 생각하며 흡족해했다.  그러다가 강을 따라 동쪽으로 가다가  北海(북해)에 이르러 동쪽을 보았더니  물의 끝이 보이지 않았다.  비로소 하백은  자기의 식견이 좁음을 한탄하며  북해의 신 若(약)에게 하마터면  후세의 웃음거리가 될 뻔 했다고 말했다. 약은 하백에게 일러준다.  ‘우물 안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 설명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그들이 좁은 장소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井蛙不可以語於海者 拘於虛也/ 정와불가이어어해자 구어허야),  여름벌레에게 얼음에 대해 말해줄 수 없는 것은  그들이 살고 있는 여름만 고집하기 때문이다 (夏蟲不可以語於氷者 篤於時也/ 하충불가이어어빙자 독어시야).’ 이렇게 말하고 북해약은 하백 자신이  보잘 것 없다는 것을 깨달았으니  大道(대도)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여기에서 따와 우물 속 개구리는  바다를 말해도 알지 못한다 (井中之蛙 不知大海/ 정중지와 부지대해)라고 쓰기도 한다. 일을 맡아 처리할 때는  주변에 미칠 영향까지 면밀히 분석해야 옳다.  좌우할 권한이 있다고 하여  자신이 제일 잘 하는 것은 아니다.  독불장군으로 밀고 나가다가는  나중에 돌아오지 못할 정도로  망칠 때가 많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Devotion - Ralf B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