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故事成語) 74

고처불승한(高處不勝寒): 높은 곳에선 추위를 이기지 못한다

고처불승한(高處不勝寒): 높은 곳에선 추위를 이기지 못한다(지위가 오르면 시기와 모함이 따른다)[높을 고(高/0) 곳 처(虍/5) 아닐 160;불(一/3) 이길 승(力/10) 찰 한(宀/9)] 사람들은 높은 곳을 좋아한다. 지위가 높고, 재산이 많고, 아는 것이 많고 등등 남보다 앞서기 위해 평생을 경쟁한다. 고지를 오르는 모험가 힐러리(Hillary)경은 ‘산이 거기 있기 때문에 오른다’고 통달한 말을 남겼지만 아무래도 세인들은 상봉을 정복했을 때 등산의 기쁨을 느낀다. 그런데 오르고 또 올라 더 오를 데가 없는하늘의 용 亢龍(항룡)은 행복할까.?가장 높은 자리에 올랐을 때엔떨어질 일만 남아 후회하게 된다는亢龍有悔(항룡유회)란 말로 보아더욱 조심스러우니 좋지만은 않다.같은 의미로 널리 알려진 시구..

측은지심(惻隱之心) : 불쌍히 여기는 마음

측은지심(惻隱之心) : 불쌍히 여기는 마음타고난 착한 마음으로 四端(사단)의 하나 [슬플 측(⺖/9) 숨을 은(阝/14) 갈 지(丿/3) 마음 심(心/0)]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성품이 착하나나쁜 환경이나 물욕으로 인해 악하게 된다.孟子(맹자)의 性善說(성선설)이다.사람들은 천부적으로 선한 본성을 갖고 태어나기에남의 고통을 보고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데그것이 仁義禮智(인의예지)의 근본을 이루는四端(사단)이란 이야기다. 이에 반해 荀子(순자)는 性惡說(성악설)을 주장하며선천적으로 한없는 욕망을 가지고 있는 인간을그대로 두면 파멸하기 때문에 禮(예)로써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해 대조적이다.맹자는 누구나 남의 고통을 차마 외면하지 못한다는 마음이 있다고 주장하며 재미있는 어린아이와 우물 이야기를 예로..

기명위절(其名爲竊)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의 이름은 도둑

기명위절(其名爲竊)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의 이름은 도둑[그 기(八/6) 이름 명(口/3) 하 위(爪/8) 훔칠 절(穴/17)]사람들은 겉모습만 보고 쉽게 남을 평가한다.속은 알찬 사람인데 겉으로 어리석게 보여함부로 대하다 된통 당한다.성인은빛을 감춘다고 하여 드러내는 법이 없다.일부러 어리석게 보여도 어딘가 티가 난다며難得糊塗(난득호도)라 했는데 어리석은 자는 눈치도 못 챈다.반면 인물이 훤하고 말을 청산유수같이 줄줄 늘어놓을 때 모두들 대단한 사람이라 여긴다. 이런 사람들 중에서 뒷구멍으로 호박씨 까는 개차반도 있는 법이라‘빛 좋은 개살구’란 속담이 나왔다.이름만 번지르르한 虛名無實(허명무실)의 羊頭狗肉(양두구육)인 사람이다. 겉으로는 그럴듯하고 속으로 엉망인 사람의 이름(其名)은도둑(爲竊)이라고 꾸..

일엽장목(一葉障目) 잎사귀 하나로 눈을 가리다, (부분만 보다 본질을 놓치다.)

일엽장목(一葉障目) 잎사귀 하나로 눈을 가리다, (부분만 보다 본질을 놓치다.) [한;일(一/0) 잎 엽(艹/9) 막을 장(阝/11) 눈 목(目/0)] 나뭇잎 하나(一葉)가 눈을 가리면(障目) 당연히 앞을 보지 못한다. 자질구레하고 지엽적인 일에 눈이 어두워 문제의 본질이나 전모를 보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다. 또 이 말은 ‘가랑잎으로 눈 가리기’라는 속담이 말하는 대로 자기의 존재나 허물을 덮기 위해 미련하게 애쓰는 경우를 가리키기도 한다. 어느 것이나 잎사귀로 눈이 가려져 태산을 보지 못한다 (一葉蔽目 不見泰山 / 일엽폐목 불견태산)’는 말과 같고, 줄여서 一葉蔽目(일엽폐목)이라 쓰기도 한다 鶡冠子(갈관자,;鶡은 관이름 갈)라는 사람이 썼다고 하는 ‘갈관자’ 天則(천..

선부지설(蟬不知雪) : 매미는 겨울의 눈을 모른다(견문이 매우좁다)

선부지설(蟬不知雪) : 매미는 겨울의 눈을 모른다,(견문이 매우좁다)[매미;선(虫/12) 아닐;불,부(一/3)알;지(矢/3)눈;설(雨/3)]여름철 도심이나 교외서나 끊이지 않고 울음소리를 내는 매미는 五德(오덕)이 있다고 칭송받는다.머리가 선비의 갓끈이 떨어진 모습을 연상해 文(문),이슬만 먹고 곡식은 해치지 않아 淸廉(청렴),집이 없이 살아 儉(검),때를 잘 지켜 信(신)이라고 중국 西晉(서진) 때의 문학가 陸雲(육운)이 노래했다또 ‘매미의 성품이 자못 고결하다(爾性頗高潔/ 이성파고결)’고 본조선의 문신 李荇(이행/荇은 마름풀행)은 본래 삿된 마음이 없다(此物本無機/ 차물본무기)’고 예찬했다.모두 그렇지는 않고 매미도 蛙鳴蟬噪(와명선조,噪는지저귈 조)라 하여개구리의 울음소리와 같이 시끄럽다고쓸..

난자이사(難者二事) :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 두 가지

난자이사(難者二事) :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 두 가지[어려울 난(隹/11). 놈 자(耂/5). 두 이(二/0). 일사(亅/7)]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무엇일까. 사람마다 삶이 다르니 어려움을 느끼는 것도 각각 다를 터이지만 공감이 가는 것이있다. 사람이 사람을 아는 것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하고, 또 프랑스의 작가 생텍쥐페리(Saint-Exupéry)의 ‘어린 왕자’에 나온다고 하는 유명한 말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사람이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일’이란다.모두 어려운 일임은 분명한데 모두에게 꼭 들어맞는 것일 수는 없다.사람이 하기 어려운(難者) 두 가지 일(二事)이라 하면조선 후기의 문신 柳觀鉉(유관현,1692~1764)을 떠올리게 된다.한문학자 정민 ..

오교삼흔(五交三釁) : 다섯 가지의 우정과 그에 따르는 문제점

오교삼흔(五交三釁) : 다섯 가지의 우정과 그에 따르는 문제점 [다섯;오(二/2) 사귈 ;교(亠/4) 석 삼(一/2) 피칠할 흔(酉/19)] 26획이나 되는 어려운 한자 피칠할 釁(흔)은 한자전문교육기관 한국어문회의 특급에도 들어가지 않는다. 간체로 衅(흔)이라고도 쓰는 이 글자는 그릇에 희생의 동물 피를 발라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의미했다고 하고, 종이나 북에 피를 바르는;釁鐘(흔종)이 나 釁鼓(흔고)라는 말로 남았다. 흔종은 孟子(맹자)의 以羊易牛(이양역우)에 나와 조금& 낯익다. 불화나 분쟁이라는 의미도 있어 사이가 벌어져서 틈이 생기게 되는 실마리라는 뜻의  釁端(흔단)은 고전에 많이 사용됐다. 이 글자가 들어가는 성어 다섯 가지의 사귐(五交)과 세 가지의 흠(三釁)은 뜻이 좋아도 ..

아유구용(阿諛苟容):남에게 아첨하여 구차스럽게 얼굴을 꾸미다.

아유구용(阿諛苟容):남에게 아첨하여 구차스럽게 얼굴을 꾸미다.[언덕;아(阝/5).아첨할;유(言/9).구차할;구(艹/5).얼굴;용(宀/7)] 돈이나 권세 앞에, 또는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알랑거리는 阿諂(아첨)은 누구나 배격한다. 윗자리에 있는 사람은 아부하는 사람을 싫어하고 불이익을 준다고 내세우고는 비위나 맞추는 부하를 좋아한다. 아랫사람도 알랑거리는 것과는 담을 쌓았다고 큰소리치지만 은연중에 상사가 듣기 좋은 말만 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인간은 아첨하는 동물’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자신도 모르게 힘 앞에 무력해지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나타내는 말이 많은 것도 아첨을 조심하라는 말이겠다. 상관의 수염을 불어주고 변까지 맛본다는 ..

누망지어(漏網之魚) : 그물을 빠져나간 물고기.(법망을 교묘하게 피한 범인)

누망지어(漏網之魚) : 그물을 빠져나간 물고기.(법망을 교묘하게 피한 범인)[샐;루(氵/11);그물;망(糸/8) 갈;지(丿/3) 고기;어(魚/0)]양심껏 살아가는 보통 사람들은 법이 없어도 산다.법이 어떤 것인지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法網(법망)이란 말은 죄를 지은 사람에게 물고기를 잡는 그물처럼 제재할 수 있다는 뜻에서 나온 비유다.이 법망이 촘촘해야 좋을까, 느슨해야 좋을까.양쪽 모두 일장일단이 있어 단정하기는 어렵다.소소한 것을 금지하면 백성이 숨을 쉬지 못하고, 뚫린 구멍이 크면 범법자가 활개를 친다. 그물에서 빠져나간(漏網) 물고기(之魚)란 이 성어도 요즘은 법망을 교묘하게 피한 범인을 가리키는데司馬遷(사마천)이 “史記(사기)”에서 사용했을 때는 큰 고기도 빠져나갈 수 있는 너그러운 법..

시비지심(是非之心) : 옳고 그른 것을 가릴 줄 아는 마음

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른 것을 가릴 줄 아는 마음[옳을;시(日/5) 아닐;비(非/0) 갈;지(丿/3) 마음;심(心/0)] 옳고 그른 것이 물론 是非(시비)다. 옳고 그른 것을 따지는 것도 역시 시비다. 옳고 그른 것이 명확히 구별될 것 같은데 일상에서 끝없이 시비가 일어나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도덕적인 문제는 주관적이라 시비를 가리기 어렵고, "참깨가 기니 짧으니 한다"는 속담대로 차이가 별로 없는 것에도 무조건 자기가 옳다고 우긴다. 전후 사정을 따지지 않고不問曲直(불문곡직) 나서는 사람도 많다.남의 말에 쌍지팡이 짚고 나서는 사람이다. 그렇다고 흑백이 분명한데 검다, 희다 가리지않아도 속 터진다. 이렇게 해도 저렇게 해도 어려우니 시비가 끊이지 않는 모양이다..

빙기옥골(氷肌玉骨):살결이 곱고 깨끗 미인(곱고 깨끗한 매화)

빙기옥골(氷肌玉骨);살결이 곱고 깨끗 미인(곱고 깨끗한 매화) [얼음 빙(水/1) 살 기(肉/2) 구슬 옥(玉/0) 뼈 골(骨/0)] 얼음같이 흰 살결(氷肌)과 옥 같은 골격의 풍채를 지녔다(玉骨)는 이 말은 두 가지 뜻이 있다. 피부가 더없이 고운 미인을 가리키거나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노래한 꽃, 梅花(매화)를 묘사한 데서 나왔다. 매화는 梅蘭菊竹(매난국죽)의 四君子(사군자) 중에서도 첫 손에 꼽히고, 소나무, 대나무와 함께 三淸(삼청)이나 歲寒三友(세한삼우)로 불릴 정도로 선비들의 숭상을 받았다. 養花小錄(양화소록)과 함께 조선의 2대 원예서로 꼽히는 花菴隨錄(화암수록)에도 물론 1등급에 올라 있다. 꽃과 여인,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노래한 것이 많은 것도 매화의 청초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가 미인을..

교언여황(巧言如簧) : 교묘하게 꾸며 듣기 좋은 말

교언여황(巧言如簧) : 교묘하게 꾸며 듣기 좋은 말 [공교할;교(工/2) 말씀;언(言/0) 같을;여(女/3) 생황;황(竹/12)] 말은 적어도 탈이고 많아도 탈이다. 침묵은 금이고 웅변이라며 말이 없는 것을 예찬한다. 그러나 미련한 자도 잠잠하면 지혜로운 자로 여기는 줄 안다고 비꼼을 당하니 좋은 것도 아니다. 속으로 육두 벼슬을 하고 있어도 말 하지 않으면 아무도 모르니 필요할 때는 해야 한다. 이것이 지나쳐 할 말 안할 말 늘어놓을 때는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는 소리 들으니 어렵긴 어렵다. 때와 장소를 가려 핵심을 찌르며 말을 잘 하는 사람을 옛날 중국의 변설가 이름을 따 蘇秦(소진 張儀(장의) 라며 부러워한다. 웅변을 잘 하는 사람은 말이 폭포수에서 떨어지 것 같다며 口若懸河(구약현하)라고 칭..

아사리판(阿闍梨判);질서 없이 어지러운 상태

아사리판(阿闍梨判);질서 없이 어지러운 상태 [언덕 아(阝/5) 사리 사(門/9) 배 리(木/7) 판단할 판(刂/5)] 질서가 없고 제 주장만 난무하는 어지러운 상태를 가리키는 말은 많다. 먼저 속된 표현으로 개판을 가장 많이 쓴다. 상태, 행동 따위가 사리에 어긋나 온당치 못하거나 무질서하고 난잡한 것을 이른다. 명분이 서지 않는 일로 몰골사납게 싸우는 泥田鬪狗(이전투구)는 처음 강인한 함경도 사람을가리키는 말이었다.` 옛날 과거를 보는 마당에서 선비들이 질서 없이 들끓어 뒤죽박죽이 된 亂場(난장)에서 온 난장판도 있다. 이렇게 드러난 말뜻도 알 수 있고 유래도 뚜렷한 말과 달리 아사리판은 사전에도 올라 있지 않은 말이면서도 일상에서 흔히 쓰인다. 어원이라며 주장하는 몇 가지 중에서 우리말에서 왔다는 ..

각자무치(角者無齒);뿔이 있는 짐승은 이(齒)가 없다

각자무치(角者無齒);뿔이 있는 짐승은 이(齒)가 없다, (한 사람이 재주나 복을 다 가질 수 없다) [뿔;각(角/0) 놈;자(耂/5) 없을;무(灬/8) 이 ;치(齒/0)] 사람은 세상에 올 때 모두 각자의 능력을 타고 난다. 아무리 모자라는 사람이라도 한 가지는 잘 할 수 있는 분야가 있고, 모든 방면에 다 능통하다고 자부하는 사람도 각 분야의 전문가보다는 뒤떨어진다. 사나운 호랑이에게 뿔까지 달렸다면 당할 동물이 없다. 이처럼 뿔이 있는 짐승(角者)은 이빨이 없다(無齒)는 성어와 같은 속담이 바로 ‘무는 호랑이는 뿔이 없다’, 또는 ‘송곳니를 가진 호랑이는 뿔이 없다’ 등이다. 달리 한역으로 噬虎無角(서호무각, 噬는 씹을 서)이라고도 한다. 한 가지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어 무엇이든 완전무결하게 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