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훼난파(巢毁卵破) : 새집이 부서지면 알도 깨진다.
[새집;소(巛/8) 헐;훼(殳/9) 알;란(卩/5) 깨뜨릴;파(石/5)]
보호해 주던 울타리가 없어지면
그 안에서의 생활이 당연히 평안할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처마 끝의 새 보금자리가 훼손된다면(巢毁)
그 안에 있던 알도 안전 할 수 없이 깨진다(卵破).
국가나 사회에 불행이 닥치면
그 보호 아래서 생활하던 구성원들도
그것을 피할 수 없다.
그런데 이럴 때 모두의 운명으로 감수하거나,
힘을 합쳐 그 난관을 이겨나가는 경우가 있는 반면
자기 살 길을 찾아 뿔뿔이 흩어지는
各自圖生(각자도생)이 있겠다. 이 경우는
나무가 쓰러지면 그곳서 깃들여 살던 새가 날아간다는
樹倒鳥飛(수도조비), 원숭이도 흩어진다는
樹倒猢猻散(수도호손산)이란 말이 따로 있다.
엎어진 새집 밑에는 온전한 알이 없다는
覆巢無完卵(복소무완란)와 똑 같은 뜻의
이 성어는 중국 後漢(후한) 말기의 학자
孔融(공융, 153~208)과 그 자녀 이야기에서 나왔다.
孔子(공자)의 20세손이자 문필에 능하여
建安七子(건안칠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는 공융은
마지막 14대 獻帝(헌제) 때 北海(북해)에서 벼슬을 하며
학교를 세우고 유학을 가르쳤다.
당시 세력을 떨치고 있던 曹操(조조)가
일찍이 황제의 자리를 노리고 있는 야심을 간파하고
공융이 여러번 견제하며 멀리했다.
조조도 이런 공융에게 반감을 품고 벼르고 있었다.
뒷날 조조가 劉備(유비)와 孫權(손권)을 정벌하기 위해
50만 대군을 일으키자 공융이 이를 반대하며
불평을 늘어놓았다. 이것을 듣게 된 조조가 화가 나
조정을 비방했다는 죄목으로 그를 체포하여
사형에 처하도록 했다.
공융이 잡혀가던 날 9세와 7세 된 자녀가
태연히 바둑을 두고 있었다.
사람들은 아이들이 아직 어려
큰 일이 닥칠 것을 모르고 있다고 생각하고
빨리 피신하라고 일렀다.
하지만 자녀들은 조금도 겁내지 않고
새 둥지가 뒤집히는 판인데 어찌 알이 깨지지 않을 수가
있겠습니까(安有巢毁而卵不破乎/ 안유소훼이란불파호)’라며
바둑을 계속했다고 한다
조조는 공융과 함께 자녀도 둘 수 없다고 생각하고
모두 처형했다.
‘後漢書(후한서)’ 공융전에 실려 전한다.
나라나 작은 집단이나 불행이 닥치지 않도록
모두 합심해야 한다. 공융의 자녀도
이렇게 지켜주던 부친과 함께 운명을 같이 하는데
보호막이 걷혀지면 제 살길을 찾아 흩어지는 경우를
자주 본다.
특히 정치이념으로 뭉친 정치권에서 상황이 변하면
제 이익을 찾아 離合集散(이합집산)하는 꼴불견은
최근에도 본 바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
Beauty of Forgiveness - Frederic Dela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