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령과 詩人 정덕수
산을 오를 때면 흥얼거리는 노래가 '한계령'이다.
깊이가 있는 가사와 곡 그리고 부른 가수가 좋아서이다.
이 노래에 얽혀있는 사연은 이러하다.
한계령에서 / 詩 : 정덕수
온종일 서북주릉(西北紬綾)을 헤매며
걸어왔다.
안개구름에 길을 잃고
안개구름에 흠씬 젖어
오늘, 하루가 아니라
내 일생 고스란히
천지창조 전의 혼돈
혼돈 중에 헤메일지.
삼만육천오백날을 딛고
완숙한 늙음을 맞이하였을 때
절망과 체념 사이에 희망이 존재한다면
담배 연기빛 푸른 별은 돋을까
저 산은,
추억이 아파 우는 내게
울지 마라
울지 마라 하고
발 아래
상처 아린 옛 이야기로
눈물 젖은 계곡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구름인 양 떠도는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
홀로 늙으시는 아버지
지친 한숨 빗물 되어
빈 가슴을 쓸어내리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온종일 헤메던 중에 가시덤불에 찢겼나 보다
팔목과 다리에서는 피가 흘러
빗물 젖은 옷자락에
피나무 잎새 번진 불길처럼
깊이를 알 수 없는 애증(愛憎)의 꽃으로 핀다
찬 빗속
꽁초처럼 비틀어진 풀포기 사이 하얀 구절초
열 한 살 작은 아이가
무서움에 도망치듯 총총이 걸어가던
굽이 많은 길
아스라한 추억 부수며
관광버스가 지나친다.
저 산은
젖은 담배 태우는 내게
내려가라
이제는 내려가라 하고
서북주릉 휘몰아온 바람
함성 되어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
- 1981년 10월 3일 한계령에서 고향 오색을 보며 -
정덕수 시인은 오색 초등학교 출신 시인이다
(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307-1)
6세 때 어머니가 가출을 하여 홀아버지 슬하에서 자랐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겪으며 살아온
정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초등학교 졸업하고
<엄마 없는 하늘 아래"란 영화를 보았어요."
"저희 어머니가 가출을 해서 재혼을 하지도 못하고
자식을 낳고 사는 집에 가서
어머니를 만나고 나와서 본 영화인데,
조조 할인부터 영화가 끝났을 때 까지 봤어요.
하염없이 눈물이 나더라구요."
어머니라는 이름은 아름답다기 보다
한이고 수치심일 수도 있고
그런면서도 한없이 자애롭고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는 희망입니다."
정시인은 초등학교 졸업 후 상경하여
봉제공, 철공소 등의 막노동을 하며
고달픈 생을 이어갔다.
이 가난한 청년의 꿈은 시인,
그래서 1980년대 황금찬 같은 시인들이
자주 다니는 <보리수다방> <청자다방>
<산장다방>을 순례하기도 했다.
시인 정덕수를 아는 사람은 흔하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중앙의 문단과는 동떨어진
한계령 오색 약수터 인근 안터마을에 산장을 짓고
그것도 오가는 사람들 아무나 들어오라고
문은 활짝 열어놓고 사진 찍고 시를 쓰며
산 속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의 시 한계령에서를 읽으면서는
많이 듣던 것인데....할 것이다
맞다 바로 양희은이 부른 노래 한계령은
이 시에서 몇 구절을 빌어온 것이다
작곡자 하덕규가 극심한 고뇌와
자살 충동까지 느끼며 한계령에 올랐다가
정덕수의 시를 읽으며 작곡을 했다는 곡이
바로 한계령이고
그 원시가 바로 이 한계령에서 이다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학력이 변변치 않았던
정덕수는
고향을 떠나 서울로 갔다가 잠시 고향인
강원도 양양 오색약수터 마을로 향했다
詩에서처럼 온종일
서북주릉(西北紬綾)을 헤매며 걸어
한계령을 넘다가
오색을 바라보며 문득 떠오른 시상을 적었다
어린 시절 회고부터 가정 사정까지 그리고
산을 타며 느낀 여러 상념들....
열여덟 청년의 진솔한 회한이 담긴 시였다
서울로 다시 올라온 그는 시를 참 많이 썼다
그렇게 쓴 시들을 음악다방에 가서 낭송을 했다
어느 날 자신을 시인이라고 밝힌 남자가
시가 참 좋다며 건네 줄 것을 요청했다
정덕수는 자신의 시를 아껴준다는 고마운 생각에
시를 베껴 건넸다
작곡자 하덕규는 그렇게 건네받은 시를 참 좋아했다
삶이 고달파 더 이상 무언가를 해 볼
엄두조차 나지 않는 어느 날
한계령을 올랐다가 마침 그 시를 다시 읽었다
하늘이 준 재능이 빛을 발했는지
양희은이 부른 한계령은 정말 한계령에서
하덕규에 의해 작곡이 되었다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고향인 오색으로 내려온
정덕수는산장을 짓고 사진 찍고
등산객 안내하며 시를 썼다
한계령에서란 시집을 냈는데
한계령의 원작 시인으로 알려졌다
유명세를 타며 다시 한계령에서란 시집도 냈다
마침 저작권법이 시행되었지만
그에게 돌아온 것은 공동 작사로 하자는 제안이었고
이재에 밝지 않았던 그가 그간의 저작권료로
디지털 카메라 한 대를 받았을 뿐이었다
한참 시간이 흐른 2007년이 되어서야
양희은의 노래 한계령에 대하여
작사자로서 온전한 저작권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양희은의 노래뿐만이 아니다
소설가 양귀자는 그의 소설집 원미동 사람들에
한계령이란 단편소설을 수록했다
물론 양희은의 노랫말이 주가 되지만
내려가라
잊으라
내 어깨를 떠미네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은
소설 속 화자의 큰오빠의 삶에 연결되어
그 의미를 진하게 전해준다
양희은의 노래도 좋지만
정덕수의 시는 더 좋다
노래를 생각하지 말고 시를 찬찬히 읊어 보라
눈물이 글썽일 즈음
'어쩌면 열여덟에 이런 생각을 했을까?'라고
되뇌여 본다.
(옮김)
한계령 / 양희은
저 산은 내게 우지마라 우지마라 하고
달 아래 젖은 계곡 첩첩산중
저산은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
내가슴을 쓸어 내리네
아~ 그러나 한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산 저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네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아~그러나 한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산 저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저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