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

세상의 모든 바보들은 언제나 남의 탓만한다 /( Into the Light )

담하(淡霞) 2019. 6. 23. 20:25

세상의 모든 바보들은 언제나 남의 탓만한다!

동일한 결과라도
해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인생이 달라진다. 
술주정만하는 알콜중독자에게 두 아들이 있었다.
한 아들은 아버지처럼 방탕한 범죄자가 되었다.
반면 다른 아들은 훌륭한 모범적 시민이 되었다. 
범죄자 아들은 이렇게 변명했다.
"제가 어려서 그런 부모밑에서 뭘 배울수있겠나요? 
제 인생이 이렇게 된 건 어쩔수 없어요." 
모범적 시민이 된 아들은 이렇게 말했다
"저는 결코 아버지 같은 사람이 되어서는 안된다는걸
두눈으로 보고 뼈저리게 느끼고 결심했습니다."
이처럼 똑같은 아버지를 둔 두 아들의 인생은 달랐다. 
우리 인생을 결정짓는 것은 
주어진 "현실이나 문제"보다 이를 "해석하는 방식"이다. 
자신이 친구나 동료보다 돈이없고 가난하다고 하자.
이것을 어떻게 해석할수있을까?
누구나 친구, 동료보다 열등한 것을 견디기 힘들어한다.
두뇌는 자신이 열등하다는 것을 인식하면 
자존감을 위협받고 자동적으로 벌을 내린다.
즉 두뇌는 
우울.고통.질투.분노.낙담.실망감을 느끼게 만든다. 
이것은 인간인 이상 누구나 똑같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할 것인가는
사람(두뇌)마다 다르며 3가지 해석방식이 있다. 
1) 첫번째 해석방식은

대개 친구나 동료의 부에 대해서 
애써 깎아내리거나 폄하하거나
잘못을 지적하는 방식이다.
"그 친구는 재수가 좋아서 돈을 번거야. 
행운이 따랐을 뿐이야.
"그친구는 투기나 다른 부정한 방법으로 로 돈을 번거야. 
투기하면 누구나 돈을 벌수있지만 난 그러지 않았을뿐이야" " 
그 친구 돈은 벌었는지 모르지만 아이들이 엉망이잖아"
이런식으로 이솝우화에 나오는 '여우의 신포도'처럼 행동한다
이런 해석 방식도 무의식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작 본인은 자신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전혀 자각하지 못한다. 
2) 두번째 해석방식은

세상이 잘못된 것이라는 것이다.
내가 돈이 없고 가난한 이유는 내탓이 아니고 
세상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란 것이다
나쁜 부자가 돈을 다가져가서 내가 가난하다는
이런 해석은  
다른 사람이 건강하기에 내가 아프다는 것과
남이 공부잘하기에 내가 공부못한다고 
주장하는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두뇌는 이러한 해석방식을 택하기 쉽고 
고통이란 벌을 피하려한다
가난하면서도 세상을 원망하지 않기란 힘든 일이라고 
공자님도 지적하셨다
이런 해석방식의 두뇌를 가진 사람은 
자신이 고통스런 노력하는 대신에 언제나 남탓만 하게된다. 
3) 세번째 해석방식은

가난하고 돈이 없는 이유는 
자신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방식이다. 
이런 해석 방식은 자신을 괴롭힌다. 
고통, 우울 등의 벌을 받는다
그러나 이런 해석방식을 가진 사람은 
두뇌가 주는 벌을 받지 않기 위해서 
현실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려한다.
즉 첫번째 해석방식, 두번째 해석방식은 
현실은 그냥두고 인식을 바꾸려했을 뿐, 즉 자기기만이지만
세번째 해석은 고통스런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현실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
대개 자수성가한 부자들은 이런 유형의 사람이다.
과일은 뿌리의 결과이다. 부는 마음의 결과이다.
부자가 되려면 마음을 먼저 바꾸어야 한다.
두뇌의 해석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카톨릭에서도 "내탓이요"를 강조한다.

현실을 개선하려면 
'내탓이요'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세상 모든 바보들은 언제나 남의 탓만 한다."
[머니투데이]중에서

Into the Light / Fukada Kyo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