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를 통한 死生觀과 내세관(來世觀)
1. 유교(儒敎)
우리 인간에게 삶과 죽음의 문제만큼 중요한 것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죽은 후에는 어찌 되는 것일까.
來世니 저승이니 하는 사후관계란 과연 있는 것일까?
있다면 그 곳은 어떠하며 우리는 장차
어떠한 모습으로 그 곳으로 가는 것일까?
자기가 어떤 종교를 가졌던지
누구나 죽음을 생각해 보지 않은 이가 없을 것이고,
혹은 종교를 가지지 않았더라도 각각 자기 나름의
死生觀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인간에게 죽음이 없었더라면
종교는 생겨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인간의 죽음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는 허다한 종교 중에
내가 신봉하고 있는 종교는 어떤 것이며,
그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나의 사생관은 과연 어떤 것인가?
내 종교 이외의 다른 종교들은 죽음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우리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한 번쯤 깊은 사색에 잠겨 봐도 좋을듯 하다
1. 유교(儒敎)
유교에서는 천지만물이 음양(陰陽), 오행(五行)이라는
기(氣)의 집합으로 생겨나고, 또한 그 기의 흩어짐으로 없어지다고 한다.
(聚則生 散則滅) 사람도 예외는 아니어서 기(氣)의 모임으로 태어났다가
그 기의 흩어지는 현상이 바로 죽음이라는 것이다.
다만 기氣에는 맑고 흐리고, 깨끗하고 더럽고, 순수하고 잡된 것이 있는데
사람은 그 중에서 맑고 깨끗하고 순수한 것만을 받았기 때문에
만물의 영장이 되었지만 기의 모이고 흩어짐에 따라
생겨나고 없어지는(生成消滅) 점에 있어서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과 더불어 다 같은 자연의 일부라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혼은 날아가고 넋은 흩어진다(魂飛魄散)하여
날아가는 혼을 불러들이려고 亡人의 체취가 배인 옷을 들고
지붕에 올라가 흔들면서 혼을 부르는 초혼(招魂)의 절차를 밟는다.
죽음 뒤에도 살아지지 않는다고 믿는 혼백(魂魄) 역시
음양의 기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시일이 지나면
마침내 흩어지는 것이고,자연으로 돌아간 기는
다시 사람으로 태어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유교에서는 내세를 믿지 않는다.
한 번 죽으면 그만이기 때문에
자손을 통하여 代를 이어 감으로서 그 허무함을 달래고
영생(永生)의 욕구를 대신하려 한다.
대가 끊어지는 것은 영생이 단절되는 것이기 때문에
아들을 못 낳으면 아내를 쫓아내는 七去之惡이니
다른 여인에게서 아들을 낳아 오는 씨받이니 하는 습속(習俗)이
생겨나기까지 했다.
그러나 生과 死를 天命(우주의 섭리)에 따른 氣의 集散으로 볼 때
인간의 죽음 역시 자연의 기(氣)로 돌아감이다.
자연은 인간의 모태(母胎)요, 본래의 고향이다.
따라서 죽음은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감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은 우주 자연과의 영원한 合一이다.
우주는 영존(永存)하는 것임으로 우주와의 합일인 인간의 죽음은
인간의 변형된 영존의 시작이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