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94

Suspiranno(빗속으로) - Carmelo Zappulla

Suspiranno - Carmelo Zappulla (빗속으로) 비가 내립니다 천갈래 만갈래 길로 흩어지며 내립니다 내 영혼의 깊은곳까지 흩어집니다 젖은 가슴속으로 바람이 휘 몰아 칩니다 그대는 지금 내리는 비의 의미를 아시나요 내리는 빗물은 저의 눈물입니다 빗물이 아프게 제 얼굴에서 흐릅니다 그대 지금은 먼사람이 되어 떠나갔지만 그대는 지금도 내 마음속에 있습니다 그대는 지금 내리는 비의 의미를 아시나요 저의 눈물인 줄도 모른채 그대는 빗물을 밟고 지나가고 있습니다 저의 눈물인 줄도 모른채 그대는 빗물을 밟고 지나가고 있습니다 Suspiranno - Carmelo Zappulla (빗속으로) HK

샹송 칸초네 2023.03.23

고단한 삶을 위한 장치

고단한 삶을 위한 장치 1. 친구를 만들어라 언제든 찾아가 마음 터놓을 편안한 친구를 만들어라 초라한 모습을 보여도 흉보지 않을 친구를 만들어라 2. 취미를 만들어라 스트레스 푸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나이가 들수록 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 시간을 다스리지 못하면 우울증이 생긴다 3. 아지트를 만들어라 마음이 안정되고 기분이 좋아지는 비밀 아지트를 만들어라 산도 좋고 바다도 좋고 커피 향 가득한 카페도 좋다 4. 글을 써라 글을 쓰는 습관을 들여라 글을 쓰면 차분해 지고 생각이 정리된다 일기도 좋고 편지도 좋고 낙서도 좋다 5. 여행을 떠나라 사람이 많으면 계획만 짜다 세월 다 간다 혼자면 어떤가 며칠이 어려우면 하루라도 떠나라 다음엔 긴 여행도 갈 수 있다 - 해밀 조미하 - 『꿈이 있는 한 나이는 없다』..

스마트자료 2023.03.20

명자나무 꽃 (Mi Amor Por Ti - Ernesto Cortazar)

명자나무(산당화) 명자나무는 장미과에 딸린 낙엽 관목으로 원산지는 중국이다. 꽃은 단성으로 짧은 가지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리며 3∼4월에 분홍색·적색·담백색 등으로 다양하게 핀다 꽃이 아름다워 집의 아녀자가 이 꽃을 보면 바람이 난다고 하여 예전에는 집안에 심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과실은 타원형으로서 길이 10㎝ 정도이며 청황색이다. 열매는 탐스럽고 아름다우며 향기가 좋으며 거풍(袪風)·평간·건위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각기·수종·근육통·복통·위염 등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꽃말 : 신뢰, 수줍음, 겸손

寫眞(Photo) 2023.03.18

베토벤 - 피아노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Ludwig van Beethoven Piano Sonata No.21 in C major, Op.53 "Waldstein" (베토벤 / 피아노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 Claudio Arrau / Piano I. Allegro con brio II. Introduction, Adagio molto III. Rondo, Allegretto moderato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1번 34세(1804) 때 데블링에서 작곡, 발트슈타인의 페르디난트 백작에게 헌정했다. 출판되었을 때는 「대소나타」라고 적혀 있었고, 「열정」이나 「비창」과 함께 최대 걸작으로 꼽고 있으며, 베토벤 중기에 완성된 작품으로 유명하다. 제1악장 : Allegro con b..

클래식 2023.03.17

是非 ( 申欽의 治亂篇 ) & 아시타비(我是他非)

是非 ( 申欽의 治亂篇 ) 先事而言 則以爲妖言 (선사이언 칙이위요언) 當事而言 則以爲諦言 (당사이언 칙이위체언) 論其嬖倖 則以爲誣罔而斥之 (논기폐행 칙이위무망이척지) 論其隱慝 則以爲沽直而排之(논기은특 칙이위고이배지) 所當是而是之 則以爲非是 而必以己之所是爲是 (소당시이시지 칙이위비시 이필이기지소시위시) 所當非而非之 則以爲非非 而必以己之所非爲非 (소당비이비지 칙이위비비 이필이기지소비위비) 옳음과 그름 - 신흠(治亂篇) 일이 생기기전에 말을 하면 요망한 말이라 하고 일에 닥쳐서 말하면 헐뜯는 말이라한다 간사한 자를 총애함을 지적하면 무고하여 헐뜯는다고 배척하고 감춰진 간특함을 논하면 올곧다는 명성을 사려한다고 밀친다 마땅히 옳다할 것을 옳다하면 그렇치 않다고 하면서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바를 가지고 옳다고 하..

常識 자료 2023.03.15